[책]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_심채경

글쓰기 수업 <라라 프로젝트>의 박성희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소개해 주신 글이 좋아서 읽게 됐다.천문학자가 쓴 에세이라는 사실도 신기했다. 네이처가 미래의 달 과학을 이끌어갈 차세대 과학자로 지목한 한국 여성 과학자. 멋지다.이런 것들은 한번 읽어볼 만하다.

천문학자들은 별을 안 본다_심채경 그런 사람들을 좋아했다. 남들이 보기에 저게 도대체 뭘까 하는 생각에 신나게 몰두하는 사람들.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정치적 다툼을 만들어내지 않는 대단한 명예나 부가 따라오는 것도 아닙니다, TV나 휴대전화처럼 보편적인 삶을 바꾸는 영향력을 갖는 것도 아니다, 그런 것에 열정을 바치는 사람들. 신호가 도달하는 데 수백 년이 걸리는 곳에 한없이 전파를 흘리며 온 우주에 과연 ‘우리뿐인가’를 깊이 생각하는 무해한 사람들. 나는 그런 사람들을 동경해. 그리고 그들이 동경하는 하늘을, 자연을, 우주를 함께 동경한다.P13 프롤로그 무언가에 몰두하는 사람들은 아름답다. 그들의 몰입이 무해하면 더 좋다.남의 결점을 파헤치는 정치인보다 아름다움에 몰두하는 예술가들 가까이에 있고 싶은 마음은 그래서일까.우주비행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온 이소연은 수백 차례의 대중강연과 인터뷰하며 당초 계약한 의무기간의 배가 되는 동안 우주인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우주인 프로젝트는 일회성 사업이었고 앞으로도 우주인 이소연이 해야 할 일은 11일간의 비행 이야기를 반복하는 것뿐이었다. 중략 외계인 이소연이 할 수 있는 후속 프로젝트가 마련될 길은 멀어 보였다. 고민 끝에 휴직하고 미국 유학길에 오르자 이번에는 ‘먹튀’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그곳에서 한국계 미국인과 결혼했을 때도, 휴직 기간이 만료됐고 급기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퇴사했을 때도 같은 일이 반복됐다. 중략규정 위반으로 우주비행에 참여하지 못한 고상도 연구원과의 의무계약 기간을 마친 뒤 미국으로 건너갔다. 역시 우주인으로서의 정체성과는 별 접점이 없는 분야로 유학했지만 아무도 비난하지 않았다.P1022부 최고의 우주인 챕터가 너무 인상적이었다. 기사에서 어렴풋이 알고 있던 이소연 박사의 내용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누구나 그런 건 아니지만 여성의 업적을 쉽게 비하하는 사람이 있다. 그 여자가 바로 내 딸이고 누나이고 아내일 수도 있는데 말이다. 보안규정 위반으로 우주비행에 참여하지 못한 고산에게 하지 않은 비난을 왜 이소연 박사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받아야 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여성이든 남성이든 맡은 일에 대해 최선을 다해 해냈다면 업적을 칭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공정하지 못한 잣대로 불필요하게 깎을 필요는 없다.

얼마 전 한국에서 15년간 미생물연구소에서 헤파티티스(Hepatitis) A, B 등을 비롯해 에볼라(Ebola)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독일 생물학자와 알게 됐다. 그 생물학자가 15명이나 살던 한국을 떠나 미국으로 가겠다며 그 이유를 물어봤다. 한국에서 어떤 연구를 하면 외국인 연구자가 연구를 이끌고 성과를 내더라도 연구 결과를 발표할 때 외국인 연구자의 이름이 아닌 함께 참여한 한국인 연구자의 이름으로 발표된다고 한다. 연구 분야 생태계를 잘 몰라서 그런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한국에서 이뤄진 연구이기 때문에 한국의 업적으로 만들고 싶은 욕심 때문일까. 나는 내 나라가 잘 되기를 바라는 사람이지만 진실을 왜곡해서 얻을 수 있는 명예라면 부끄러울 것이다. 무엇보다 한국에 애정이 있던 능력 있는 과학자가 한국을 떠나는 것도 아쉬웠다.

어린왕자가 나오는 장면에서는 이과형 사람인 심채경 박사와 문과형 사람인 내가 얼마나 다른지 확실히 알 수 있었다. 나도 어린왕자 좋아해. 한국어로 읽고 너무 좋아서 프랑스어를 전공하던 시절 내가 좋아했던 부분을 프랑스어로도 찾아 읽었던 기억이 난다. 해가 지는 광경을 좋아하는 어린왕자가 나오는 부분에서 글을 읽으며 일몰을 감상하는 어린왕자의 모습을 상상해봤지만 논리적으로 맞는지 생각해 본 적은 없다.’일몰을 다시 보려면 의자를 앞으로 당겨 태양을 향해 다가가야 한다’ 논리적으로 생각해도 맞거나 틀릴 수 있는 게 과학적 지식이 없는 내가 보일 뻔한 반응이다.

1969년 7월 닐 암스트롱 아폴로 11호 선장은 착륙선 사다리를 타고 달 표면에 첫발을 내딛으며 한 사람에게는 작은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라는 명언을 남겼다.P260 다양한 소재를 천문학자의 입장에서 풀어 신선했고, 특히 1, 2부는 일반 에세이처럼 무리 없이 잘 읽혔다. 3부 ‘아주 짧은 천문학 수업’이라는 챕터에서 과학적인 설명이 나와 읽는 속도에 약간의 제동이 걸렸지만 누구나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은 좋은 책이었다.

인류에게 거대한 도약을 남길 수 있는 어떤 발자취가 앞으로도 이어질지 정말 기대된다.과학자들은 자기 분야에서 열심히 연구하고 파이(π) 하면 원주율보다는 사과 파이가 먼저 떠오르는 나 같은 사람은 그냥 파이를 굽거나 하면 된다.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노력하면 인류를 위해 뭔가 이룰 수 있지 않을까.

error: Content is protected !!